반응형

코인/코인_기타 16

스테이블 코인 시총 현 상황

올해 시총 800억 달러까지 가던 USDT는 루나 사태를 기점으로 계속 하락 중이다. 12월 파월의 금리 발언과 중간선거 영향으로 인해 상승했지만 연이은 악재와 함께 급락 후 현재 횡보 중이다. USDC는 6월 USDT가 위험하다는 논란과 함께 이에 대한 대안으로 대두되며 크게 상승했다. 하지만 USDT가 건재하며 시황이 안 좋아짐에 따라 함께 하락했다. 바이낸스 스테이블 코인 BUSD는 11월까지 계속 오르다가 최근 바이낸스 논란으로 인해 현재 급락 중이다. 바이낸스 논란이 사그라들면 재차 상승하겠지만 아직 두고 볼 문제다. DAI는 루나사태로 급락 후 여전히 그 수준에 머물러 있다. 눈여겨볼 점은 BUSD다. 루나사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며 바이낸스 논란이 생기기 전까지 시총은 계속 오르고 있었다..

아서 헤이즈 비트 이더 가격 예측 @비트맥스 설립자

거시적인 가격 예측만큼은 틀리지 않았던 아서 헤이즈의 미디엄 칼럼을 번역했습니다. 최근 가격 예측도 맞추었는데 이번에도 그럴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오번역과 의역이 많습니다. 내용이 이상하다 싶은 경우 영어 원문을 참고해주세요 I have regaled readers with many stories from my early years as an analyst in Deutsche Bank’s Hong Kong office. It truly was a special place, filled with som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aggressive individuals I have ever met. Today we shall talk about a teammate of mine ..

코인 불장은 미국과 유럽에게 달려 있습니다

탈중앙화 암호화폐는 권위주의 국가에선 절대 받아들여질 수 없음 중국의 CBDC 같은 건 중앙화 가상화폐고 - 그저 화폐를 가상으로 옮긴 것 러시아가 비트코인 도입한다 하는데 이것도 일시적이라 봄 권위주의는 왜 안 되냐? 국가 대빵인 자신들이 화폐를 통제할 수 없기 때문임 자국 화폐가 아닌 화폐를 도입하는 건 자국 경제의 통제권을 포기하는 셈임 권위주의 국가의 수장은 화폐를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어야 함 화폐를 컨트롤 할컨트롤할 수 있어야 경제를 컨트롤할 수 있고 이는 결국 기득권 세력들을 자기 세력으로 유지할 수 있음 결국 탈중앙화 암호화폐는 자유주의 국가에서만 존립이 가능함 암호화폐는 특정 정부 소유가 아닌 상태로 존재해야만 의미가 있기 때문임 마치 미국의 중앙은행이 민간은행인 것처럼.. 유럽의 유로화..

ENS - 장기적 상승 가능성 높다 -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

(예시) NFT 등 자산을 콜드 월렛으로 옮기고 새로 개인지갑을 만들고 코인을 중앙화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보내는 등 여러 거래를 하고 있는데요 기존 지갑 주소의 불편함을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물론 거래시 주소를 카피해서 붙여놓기만 하면 됩니다만 한 글자만 틀려도 거래가 실패하게 되고 복구가 힘들다는 점 어느 분도 주소 잘못 적어서 3백 정도 날린 이슈 등 여러모로 문제 발생 소지가 있기에 주소가 맞더라도 여러 번 체킹 하게 됩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ENS 서비스가 있는건데요 ENS(이더리움 네임 서비스)를 통해 개인 도메인을 만들면 짧은 개인 도메인으로 코인과 NFT 거래가 가능합니다(이더+이더 관련 토큰+비트) 긴 주소 대신 짧은 개인 도메인만 입력하면 거래가 되는 겁니다 이러한 주소는 시중은행..

비트코인(BTC) 반감기 일시 확인방법

비트코인 반감기 카운트다운 | Binance Academy 비트코인 블록 보상 반감기는 평균 4년에 한 번씩 발생합니다. 비트코인 반감기의 중요성과 다음 반감기가 언제 발생하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academy.binance.com 바이낸스 거래소는 생각보다 여러 정보를 알려줍니다. 위 사이트를 클릭하시면 비트코인의 반감기를 알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는 비트코인의 채굴 보상이 반으로 줄어드는 시점을 말합니다. 비트코인 반감기의 경우, 블록 개수가 21만 개가 쌓일 때마다 진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반감기가 중요한 이유는 비트코인 반감기 때마다 큰 상승 추세가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2012년, 2016년, 2020년 모두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상승했었습니다. 다만, 이번 2024..

최초로 이더리움의 흑자 전환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위 표를 보다시피 현재 블록체인 업계는 전부다~ 적자입니다 최근 매출액 7조를 기록했던 이더 조차도 적자인 상태죠 비트도 당연히 적자입니다 (*다만 비트의 가치저장 의미를 염두해야 함) 물론 스타트업 특히 IT 기업의 경우, 오랜 기간 적자에서 시달리는 경우가 굉장히 잦습니다 아마존도 흑자전환까지 7년이나 걸렸으니까 말이죠 그래서 더더욱 이러한 기업들이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되는 타이밍이 꽤 의미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한 블록체인 코인이 흑자로 전환될 날을 앞두고 있습니다 올해 2분기 6월에 이더리움 머지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23년엔 샤딩 업데이트 진행) 업데이트 이후 보안 비용 절감 및 공급량 감소 등으로 이더의 마진률을 -64%에서 72%로 보고 있습니다 이더 공급량도 90% 정도 줄어들 예정이..

탈중앙화거래소(DEX)에 오더북이 없는 이유와 자동시장메이커 AMM

AMM이란? AMM(Automated Market Maker)은 자동화된 시장 메이커를 말해 매수/매도인 대신 알고리즘이 자산 가격을 조정해주는 기술이야 유니스왑 커브 등 규모 있는 덱스(DEX)에서 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 덱스에는 오더북이 없다? 업빗이나 바낸에는 오더북이라고 매수/매도 물량 적혀있는 호가창이 있지? 근데 덱스에는 이게 없어 (최근엔 있는데도 생겨났어) 아니 거래하는 사람이 없는데 어떻게 거래를 하지? 파는 사람이 있어야 사는 사람이 있는 건데?라고 생각할 수 있어 하지만 덱스에서는 AMM이라는 기술을 사용해서 사람과 사람 간의 거래가 아닌 사람과 시스템 간의 거래를 활용하고 있어 AMM을 활용하는 이유 기존 오더북 방식은 막대한 수수료를 발생시킨다는 점과 현재 기술로는 오더북 사용시..

웨이브즈(WAVES)를 러시아가 선택할 수 없는 이유

웨이브즈 보니까 푸틴이 러시아 암호화폐에 대해 언급해서 올라간다는 의견이 일부 있습니다.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실제로 2018년부터 웨이브즈가 보스토크 프로젝트를 연구 중이고 이는 국가나 은행의 공공 행정 시스템을 개발하는 내용이라 일리는 있습니다. 창립자 자체가 러시아 모스크바 대학 출신이기도 하니까요. 그런데 최근 웨이브즈 연구 기관을 샌프란시스코에 유치한다는 발표도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반전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웨이브즈 자체가 DAO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사회주의나 독재 정권이 제일 싫어하는 행동) 여러모로 러시아 정부가 웨이브즈를 활용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지금 현재의 웨이브즈 주가 원인을 러시아 호재로 분석하는 것보단 다른 무언가가 있다고..

토르체인 새로운 비트-이더 스왑가능 기술은 호재로 보입니다

아니 생뚱맞게 뭔 소린지 싶을겁니다 하지만 이미 비트 이더 거래 가능한데? 이러면 곤란합니다 (참고! 중앙화된 거래소(바낸 등)에선 본인이 이 과정을 안 해도 되지만 DEX에서는 본인이 이걸 해야합니다) 본래 BTC와 ETH 스왑은 할 수 없습니다 (대충 비트는 스마트계약이 아니라 호환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탄생한게 WBTC 코인입니다 -> Wrapped(포장된) Coin 들어봤을겁니다 말그대로 이더 생태계 (유니스왑 등)에서 비트 거래하기위해서 만든 코인인데요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거래하기 위해선 먼저 BTC를 WBTC로 바꿔서 거래해야 합니다 근데 이러한 과정은 불편하고 불필요한 과정이라는 인식과 함께 WBTC를 믿을 수 있는지의 신뢰 문제 + 유동성 파편화(아래 참고) 해결이 힘들다는 문제를..

현재 중국은 전력난 비상사태 : 과연 가상화폐 시장에 영향을 미칠까요

"9월 16일 현재 중국 광둥성 주요 발전소의 석탄 재고가 240만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60% 감소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차이신이 보도한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언론 매체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중국이 지난해 호주 석탄 수입 금지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다만, 중국 정부의 경우 이 같은 현상은 전력 사용량 증가와 탄소 감축 정책 때문이라 말하고 있는데요. 실제로 중국 전력 소비량은 5조 4700 kWH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하기도 했습니다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지수를 보면 지난 5월 중국 규제 이후 금지 이후 꾸준하게 증가? 하고 있기는 합니다. 최근 헝다사태와 함께 가상화폐 금지 뉴스가 퍼지면서 가상화폐 시장이 출렁거렸는데요. 중국 내 가상화폐 ..

반응형